안녕하세요! 질문해주신 부분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.
주식 평단가(평균 단가) 계산은 단순히 “현재 평단”과 “추가 매수 가격”을 더하는 게 아니라, 보유 주식 수 × 매수 단가 → 총 매수 금액을 합산 후 총 주식 수로 나누는 방식입니다.
질문자님 case
기존 보유: 303주 × $63 = 19,089달러 매수금액
추가 매수 ①: 175주 × $43 = 7,525달러
추가 매수 ②: 350주 × $43 = 15,050달러
1️⃣ 추가 175주 매수 시
총 주식 수: 303 + 175 = 478주
총 매수 금액: 19,089 + 7,525 = 26,614달러
평단가 = 26,614 ÷ 478 = 약 $55.6
2️⃣ 추가 350주 매수 시
총 주식 수: 303 + 350 = 653주
총 매수 금액: 19,089 + 15,050 = 34,139달러
평단가 = 34,139 ÷ 653 = 약 $52.3
정리해보면,
175주 추가 매수 시 → 평단 약 $55.6
350주 추가 매수 시 → 평단 약 $52.3
즉, 추가 매수량이 많을수록 평단가가 낮아지지만, 절대적인 가격 차이는 몇 달러 수준이에요.
이유는 이미 기존에 $63에 303주라는 큰 금액(19,089달러)을 매수해둔 상태라서, 새로 들어오는 저가 매수분이 전체 평균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.
그래서 질문자님이 느끼신 것처럼 “2배 차이 나는 금액인데 왜 평단은 몇 달러 차이 안 나냐?”는 게 정상입니다!
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. 좋은 하루 보내세요!